월간남북평화 23.10) 북향민 작가가 전하는 “북한의 주민생활: 같음과 다름”

북향민의 사회통합 문제
2023년 10월호
📩 2023년 10월 월간남북평화에는
✔️ 남북의 평화  북향민 작가가 전하는 “북한의 주민생활: 같음과 다름”,
✔️ 세상의 평화  팔레스타인 현지 협력기관 동예루살렘YMCA로부터 온 긴급호소문, 우크라이나 전쟁난민 긴급구호 소식,
✔️ 이웃의 안녕  미얀마 대안학교 건축을 위한 모금 안내 소식 등을 담았습니다.
🕊️ 남북의 평화
남북평화재단에서는 지난 10월 10일부터 남북평화협력아카데미 평화ON클래스를 통해 남북평화협력의 이익과 필요성을 전하는 시간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10월 31일(화) 진행된 제4강에서는 북향민 청년작가 조경일 피스아고라 대표를 모시고 “북한의 주민생활: 같음과 다름”에 대해 듣고, 북향민들이 남한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과 차별에 대해 살펴보며 북향민의 사회통합을 위해 필요한 지원과 협력 방안은 무엇인지 논의해 보았습니다.

아래 강연 영상을 통해 우리 안의 차별과 분단 트라우마를 극복해 나갈 방법과, “통일”을 개인의 사적인 문제와 경험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함께 고민해 주시길 바랍니다.
오는 11/9 남북평화협력아카데미 6강에서는 이혁희 통일맞이 운영위원장을 모시고 “남한의 북한인식과 통일운동의 성찰”이라는 주제로 통일 평화교육의 중요성과 우리 사회 안에 자리 잡은 북한 혐오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짚어봅니다. 
마지막 7강에서는 이제훈 한겨레신문 선임기자“남북관계의 역사와 교훈”에 대해 듣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석 부탁드립니다.

6강. 남한의 북한인식과
통일운동의 성찰
2023. 11. 9(목) 오후 4시
7강. 남북관계의 역사와 교훈
2023. 11. 23(목) 오후 4시
서대문 공간이제 (충정로11길 20 B1)
지난 아카데미 스케치 ✏️
1강. 하마스-이스라엘 분쟁 발발: 국제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선택 |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
하마스-이스라엘 충돌의 원인과 양상, 그리고 현재 한반도 상황에 던지는 함의를 살펴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 강연 영상 보기

2강. 러-우크라이나 전쟁과 가자사태에 대한 이해와 시사점 | 박노벽 전 주 러시아대사
러-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의 공통점과 대비점,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는 이유를 다각도에서 살펴보고 두 전쟁의 시사점과 과제로서 러북군사협력문제와 에너지 안보 문제에 대한 대응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3강. 미중전략경쟁과 한중관계 | 이희옥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중 전략경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동북아 상황, 한중 무역 관계 등에서 한국이 취해야 할 선택지와 접근법(소다자주의),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5강. 경제안보시대와 한국경제의 미래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원장
경제문제의 ‘안보화’가 낳은 부정적 측면, 한미일 3각 연대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손익을 면밀히 따져보았습니다. 함께 보실 자료 공유 드립니다. 👉 장기 저성장이 한국을 덮친다 
☮️ 세상의 평화

🔊동예루살렘 YMCA에서 온 팔레스타인 긴급호소문 (2023.10.19)을 요약하여 전해 드립니다.


지난 30년 동안 정의로운 평화를 달성하고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하려는 모든 노력은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을 위한 지속적인 토지 몰수와 심각한 봉쇄로 인해 반복적으로 방해를 받았습니다.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의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 체제의 고착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폭력의 악순환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팔레스타인 정치는 주로 가자지구의 하마스와 서안지구의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로 나뉘어 있어 통합과 민주적 절차가 부족합니다. 팔레스타인 시민사회단체는 이스라엘의 점령과 정치적 자금 제한으로 인해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며, 이로 인해 지역사회 발전과 인도주의적 지원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가자지구는 현재 대재앙 상황입니다. 인구 약 230만 명 중 18세 미만 어린이가 50%이고, 70%가 난민인 지역입니다. 16년이 넘는 봉쇄와 심각한 제한, 의료 서비스를 포함한 필수품에 대한 제한된 접근, 불법적인 백린탄을 사용한 민간인에 대한 반복적인 공격 및 공습으로 가자지구 사람들은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현재 가자지구에서 전쟁이 발발하면서 3,5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12,000명이 부상했으며, 그 중 대다수는 어린이와 여성입니다. 그 중 500명은 가자지구의 알아흘리 아랍 병원에 대한 공습으로 사망했고, 사망자 숫자가 분 단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가자지구는 또한 (이스라엘의 의한) 물, 전기, 연료 및 식량 등에 대한 전면 금지로 고통을 견뎌내야 하며 필수적인 건강 및 음용수 서비스를 위협받고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연료 비축량이 줄어들고 있어 의약품과 혈액이 심각하게 부족합니다. 전력 부족은 냉장 및 관개 시설을 방해하여 식량 안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0월 18일 기준)

동예루살렘을 포함한 서안지구에서는 2023년 10월 7일부터 이스라엘 점령군(IOF)이 서안지구를 전면 포위하여 예루살렘을 포함한 팔레스타인 도시 간 이동과 여행을 제한했습니다. 게다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군의 대결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적대 행위가 시작된 이후 IOF는 어린이 15명을 포함해 팔레스타인 사람 61명을 살해했습니다. 또한 팔레스타인수감자협회(Palestinian Prisoners Society)에 따르면 현재까지 700명의 팔레스타인인이 구금되었습니다. 쿠스라(Qusra) 마을에서 두 차례 연속 (유대인 불법) 정착민의 공격이 진행되는 동안 이스라엘 정착민에 의해 추가로 6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했습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정착민의 공격이 70건에 달하고 있고, 이스라엘군에 의한 것을 포함해 사상자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기록했습니다. (10월 18일 기준)

이에 여러분께 요청합니다.

현재 전쟁이 확대되면서 피해를 입고 있는 지역사회 부상자들을 지원해 주십시오. 심리적 응급처치와 필수 의료 보조장치(예: 휠체어, 관절보조기(AFO), 목발 등),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세션을 포함한 긴급 의료 지원이 현 전쟁 상황 중 부상당한 사람들에게 제공됩니다. 이 지원은 서안지구 거주자와 서안지구에 온 가자지구 출신 개인 모두에게 제공됩니다.

지역 사회 돌봄을 위해 지원해 주십시오. 베들레헴과 헤브론에서 피해를 당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식량, 위생, 안전 문제 해결이 필요합니다. 취약 계층에게 음식 바구니, 위생 키트, 의료 용품, 안전 및 응급 처치 키트를 제공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해결하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촉진하기 위한 정신 건강 및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남북평화재단은 팔레스타인 현지 협력기관인 동예루살렘YMCA의 긴급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가자 지구 및 서안 지구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긴급 모금을 시작합니다. 특별히, 고통 받는 팔레스타인 어린이들을 기억해주시고 기도와 후원으로 협력해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피해자 및 어린이들을 위한 긴급모금 ❤️
우리은행 1006-401-311054 남북평화재단
** 가자지구 및 서안지구 지원과 연대 방안을 논의 하기 위한 남북평화재단 팔레스타인위원회 2023-1차 위원회가 오는 11월 10일(금) 오후 3시, 서대문 회의실에서 진행됩니다. 이날 논의를 바탕으로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 행동과 긴급구호 모금 캠페인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회의 결과는 추후 보고해 드리겠습니다.  
📞 우크라이나 전쟁난민 인도적 지원
ARS 060-700-0007 (1통화 5,000원) 
 우리은행 1005-001-405602 (예금주: 재단법인 남북평화재단)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600일 넘게 계속되며 두 번째 겨울을 앞두고 있습니다. 일상화된 전쟁 속에서 국제적인 무관심까지 직면한 우크라이나 국민들을 위해 따뜻한 손길과 관심이 계속 필요합니다. 

남북평화재단은 우크라이나전쟁난민긴급구호연대를 통해 전쟁 중 러시아군의 성폭력과 폭행, 고문으로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입은 여성들에게 부인과, 신경과, 외과, 심리 치료 등 종합적인 의료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월 1,500 USD) 또한, 우크라이나 남동부 드니프로의 국내실향민 인도주의 지원 허브 “Good morning, We are from Mariupol”에 구호물품을 전달하여 난민들을 돕고 있습니다. (월 1,500 USD)  

혹독한 겨울을 앞둔 우크라이나인들을 기억해주시고, 전쟁 종식과 평화를 위해 더욱 마음을 모아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치료 받은 여성들과 드니프로 실향민 인도주의 지원 허브
💛 이웃의 안녕
👧👦🏻 미얀마 대안학교 건축을 위한 모금 안내

지난 2021년, 미얀마 민주화와 평화를 바라는 동북아시아, 북미교회와 시민사회단체는 미얀마의 민정 복귀와 민주화 실현을 위해 상시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버마 플랫폼”을 조직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남북평화재단은 지난 해부터 군부 독재 하에서 고통을 겪고 있는 미얀마 아동, 청소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버마 플랫폼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미얀마의 민주화와 희망을 되찾기 위한 일환으로 대안교육 프로그램과 희망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버마 플랫폼에서는 학생들이 안전한 공간에서 대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 건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생존과 학업을 위해 애쓰고 있는 학생들과 부모들의 간절한 마음에 응하여 마음과 손길을 모아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 교회 및 단체 8곳, 개인 839분께서 후원해주셨습니다. 세상의 평화와 이웃의 안녕을 위해 함께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 명단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의 평화, 세상의 평화를 위한 노둣돌
남북평화재단

(02)6261-0613   I     snpeace.or.kr     I    수신거부 Unsubscribe

Categories: